조회 수 647 추천 수 0 댓글 0

 

2021. 09. 11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저어새과 > 저어새속

DSC_5420.jpg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에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다.

천연기념물 205-1호이며, 지구상 생존 개체수는 2014년 동시센서스에서 2,726개체가 확인되었다.

과거 드문 겨울철새로 알려졌으나 1991년 6월 전남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1994년 6월 이후 연평도와 강화도 사이의 비무장지대 내의 비도, 석도, 유도, 연평도 인근의 구지도 등지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2009년 이후 인천 남동유수지내 인공 섬에서도 번식한다.

북한의 평북 정주 대감도와 소감도, 평남 온천 덕도, 황남 각회도, 함박섬, 두만강 하류 인근의 러시아 후루젤름, 중국 라오닝성의 신렌투오에서 번식한다. (출처:daum추천백과)

 

DSC_5421.jpg

 

DSC_5422.jpg

 

DSC_5411.jpg

 

DSC_4911.jpg

 

DSC_4963.jpg

 

DSC_5085.jpg

 

DSC_5339.jpg

 

DSC_5345.jpg

 

DSC_5349.jpg

 

DSC_5367.jpg

 

DSC_5426.jpg

어라~ 욘석은 가락지를 많이도 끼고있네.

위성추적기도 등에 업고 있고, 녀석~ 많이 힘들겠구나.

어느 나라에서 왔을꼬?

 

?

  1. 천연기념물 제324-5호-칡부엉이(Long-eared Owl)

  2. 천연기념물 제324-4호 - 쇠부엉이(Short-eared Owl)

  3. 천연기념물 제325-1호 - 개리(Swan Goose)

  4. 천연기념물 제203호 -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5. 천연기념물 제228호 - 흑두루미(Grus monacha)

  6.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7.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

  8. 천연기념물 제 326호 -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9. 천연기념물 제243-4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0. 황조롱이 먹이 사냥

  11.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2.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3.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14. 천연기념물 제324-2호 - 수리부엉이(Eurasian Eagle Owl) 유조

  15. 천연기념물 제243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6. 천연기념물 243-1호 - 독수리(Cinereous vulture)

  17. 솔부엉이(brown hawk-owl) - 천연기념물 제324-3호

  18. 천연기념물 205-2호 -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19. 천연기념물 제323-3호- 개구리매 어린새

  20. 천연기념물 324-2호 - 수리부엉이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