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06 추천 수 0 댓글 0

 

천연기념물 제204호

 

DSC_8561.jpg

농경지, 인가 주변의 산림에 서식한다. 둥지는 직접 만들지 않고 묵은 까치둥지를 비롯해 다른 조류의 옛 둥지를 이용한다.

포란기간은 약 28일이며, 새끼는 부화 28~32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먹이는 곤충과 작은 조류이며, 주로 다른 조류의 새끼를 잡아먹는다.

 

DSC_9538.jpg

 

DSC_9670.jpg

 

DSC_9719.jpg

 

DSC_9759.jpg

DSC_3695.jpg

DSC_4379.jpg

 

DSC_4464.jpg

 

DSC_4513.jpg

 

 

 

DSC_6991.jpg

 

DSC_6954.jpg

ⓒ2021.7.11

 

천연기념물 제204호.

우거진 숲속 어두운 바위 틈이나 바위 위에 거칠게 나뭇가지로 둥지를 틀고 출입구를 만든 다음,

입구에는 쇠똥을 깔고 다른 동물의 침입을 막으며, 알자리에는 이끼를 깔고 한배에 4∼6개의 알을 낳는다.

겨울에는 인도차이나·필리핀을 거쳐 보르네오까지 남하, 월동한다. 매우 아름답고 희귀한 여름새이다.

 

 

 

 

 

?

  1. 천연기념물 제324-5호-칡부엉이(Long-eared Owl)

  2. 천연기념물 제324-4호 - 쇠부엉이(Short-eared Owl)

  3. 천연기념물 제325-1호 - 개리(Swan Goose)

  4. 천연기념물 제203호 -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5. 천연기념물 제228호 - 흑두루미(Grus monacha)

  6.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7.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

  8. 천연기념물 제 326호 -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9. 천연기념물 제243-4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0. 황조롱이 먹이 사냥

  11.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2.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3.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14. 천연기념물 제324-2호 - 수리부엉이(Eurasian Eagle Owl) 유조

  15. 천연기념물 제243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6. 천연기념물 243-1호 - 독수리(Cinereous vulture)

  17. 솔부엉이(brown hawk-owl) - 천연기념물 제324-3호

  18. 천연기념물 205-2호 -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19. 천연기념물 제323-3호- 개구리매 어린새

  20. 천연기념물 324-2호 - 수리부엉이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