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흰꼬리수리White tailed Eagle의 먹이 경쟁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으며 천연기념물 제243-4호입니다. 흰꼬리수리에게 여유로운 식사 시간은 없습니다. 흰꼬리수리가 사냥에 성공하자 어김없이 주변의 흰꼬리수리와 독수리...Date2021.12.13 By작은사랑 Views582 -
No Image
정지비행hovering의 명수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전국적으로 흔하게 서식하는 텃새입니다. 해안, 강가 또는 산지의 바위 절벽에서 번식하는 습성이 있지만 아파트 베란다, 교각 밑에도 둥지를 틉니다. 산림, 해안, 강, 농경지 등에 서식하며 잡식성(조류, 소형포유류, 설치류, 곤충류)입니다. 문화재청 지정 ...Date2021.12.07 By작은사랑 Views606 -
No Image
장다리물떼새를 아시나요.(Black-winged Stilt)
장다리물떼새는 긴다리도요라는 별칭이 있는 분홍빛의 긴 다리를 가진 물떼새입니다. 가늘고 긴 붉은 다리와 흰 깃털이 선명한 대조를 이루는 멋쟁이 여름철새! 곡예하는듯, 발레하는듯한 장다리물떼새의 사랑! 원앙 부럽잖은 금술 좋은 부부이며 짝짓기 뒤에...Date2021.12.07 By작은사랑 Views580 -
No Image
물까마귀 육추
계곡이나 하천에 살아서 물까마귀라고 부릅니다. 눈을 감을 때 덮이는 하얀 눈꺼풀이 인상적이며, 물가 바위에 앉아 꼬리를 들고 위아래로 흔드는 모습이 앙증맞고 귀엽습니다. 날 때에는 계곡의 수면 위로 스치듯 빠르게 이동하며 물가의 바위에 앉아 꼬리를 ...Date2021.11.23 By작은사랑 Views649 -
No Image
희귀종 겨울철새 "검은어깨매"
검은어깨매는 앉아있을 때 어깨가 검은 색이라 검은어깨매로 불린다. 눈이 붉고 어깨 죽지에 검은 깃이 선명해 "검은죽지솔개"라고도 불리는 국내 희귀종 겨울철새 ‘검은어깨매’가 지난 초봄 내게도 관찰됐다. 먹이를 물어와 기다리고 있던 횟대에 앉아 조금은...Date2021.11.18 By작은사랑 Views607 -
No Image
개꿩 이야기
고창 바람공원 인근 동호해변과 금강하구둑 주변 갯벌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였습니다.Date2021.11.08 By작은사랑 Views584 -
No Image
산새,들새들모음
검은어깨매,,알락할미새,되지빠귀 육추,밀화부리,붉은머리오목눈이,소쩍새,큰유리새,후투티 육추,어치 육추,파랑새 육추 등 간단히 담아 놨던 새들을 모아봤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675 -
No Image
바깥 세상이 궁금한 아기 소쩍새
올빼미과의 조류 천연기념물 제324호 6, 7월 경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해질녘부터 활동하는 탓에 소쩍새 담기가 쉽지 않다. 이소를 앞둔 시점에서 찾아간 소쩍새, 몇년 전부터 관찰를 해오셨는 다는 조류계 교수님이라는 분이 계서 욘석들에 대해 들을 수 있...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601 -
No Image
청호반새 육추
육추중인 청호반새 부부의 고단한 여름나기 늘 그리움의 대상이었던 여름철새인 청호반새를 만나기 위해 새벽 3시에 전주에서 경기도 연천으로 달려갔다. 아쉽게도 둥지는 볼 수 없었지만, 아가들 이소를 앞두고 인근 계곡에서 사냥에 성공한 먹잇감을 입에 물...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753 -
No Image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사랑
겨울 철새인 뒷부리장다리물떼새는 10월 중순에 도래하며 2월 하순까지 소수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들어 5월까지도 관찰되고 있고 짝짓기하는 모습도 목격되고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는 가 싶다. ...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596 -
No Image
쇠제비갈매기의 일생
퇴근 후 50여분을 달려 도착한 군산 새만금 이곳에는 세계적인 보호종인 여름철새 쇠제비갈매기가 수십여 곳에서 육추와 포란을 하고 있었습니다. 갖 알에서 깨어나온 아가, 아직 물기가 채 마르지도 않은 녀석이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면서도 숫컷이 물어...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82 -
No Image
물 새들의 생활
출사지에서 조금씩 담아왔던 물 새들의 영상을 모아봤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26 -
No Image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물은 생명이다. 생명과 환경에 대한 화두가 강조되는 오늘, 생명의 근원인 물에서 시작한 생명의 여정 환경의 중요성과 그 속에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생명의 근원인 물과 인간과의 관계 다양한 조류들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담아본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29 -
No Image
새들에게는 경계선이 없다.
전남 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새만금과 고창, 충남 서천의 장항등에서 촬영한 각종 새들을 편집하였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15 -
No Image
희귀 조류 저어새를 만나보자
저어새는 천연기념물 205-1호로 멸종위기종 1급인 새입니다. 저어새의 이름이 재밌습니다. 노를 젓듯이 부리를저어 먹이를 찾는다 하여 저어새라 칭했다고 합니다. 어미만큼 다자란 유조는 아직 사냥 능력이 없어 하루 종일 어미를 쫒아다니며 먹이를 달라고 ...Date2021.09.27 By작은사랑 Views66 -
No Image
달콤한 꾸지뽕 그 맛에 빠지다
2020년 9월 4일과 5일 양일 간 촬영한 밀화부리와 직박구리, 어치와 물까치 등.. 꾸지뽕 밭을 통째로 내어준 인심 좋은 밭 주인님의 꾸지뽕을 며칠만에 다 먹어치우는 식성 좋은 녀석들.. 매양 귀엽기만 하다. 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며 한국 전역에 분포하는 흔...Date2021.09.15 By작은사랑 Views38 -
No Image
큰유리새 육추와 이소
한 열흘 간 5차례 정도 촬영., 최종 촬영 일은 2020년 8월 5일이다. 2020년 그 해 여름 비님이 참 많이도 내렸다. 이소하는 날까지 아기 새들이 비를 덜 맞게하기 위해 나뭇가지를 이용해 비닐로 덮었고, 셔속이 나오지 않아 나이트를 비추고 촬영하였다. 2차 ...Date2021.09.13 By작은사랑 Views57 -
No Image
천연기념물 326호-검은머리물떼새 사랑과 군무
천연기념물 326호 해안가 바위 또는 간조 시 물 빠진 갯벌에서 작은 게, 굴, 조개, 수서곤충 등을 먹는다. 둥지는 바위 위 오목한 곳에 나뭇가지로 엉성하게 만든 후 갈색 바탕에 무늬가 있는 알을 3개 내외로 낳는다. 암수가 교대로 포란하며, 포란기간은 28~...Date2021.09.07 By작은사랑 Views33 -
No Image
멸종 위기 종 황새 무리 포착하다.
황새는 생태계에서 환경오염의 지표로 삼을 정도로 공해에 민감하며, 미꾸라지 붕어 개구리 뱀 들쥐들이 많은 청정한 곳에 모여 산다.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며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 새였는데 이제는 여름 철새로도 우리나라에서 자연 번식에 성공했다...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38 -
No Image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사랑과 번식
1. 4월 28일 첫 촬영 2. 8월 1일 8마리 발견(한달여 동안 지속됐던 짝짓기 이후 몇달간 보이지않아 번식지로 돌아갔을 것으로 짐작했는데 8마리가 발견되었다. 매 유조의 두번 출현으로 이틀만에 6마리 사라지고 3일째 되는 날 2마리만 발견됨) 3. 8월 14일 4...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6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