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희귀종 겨울철새 "검은어깨매"
검은어깨매는 앉아있을 때 어깨가 검은 색이라 검은어깨매로 불린다. 눈이 붉고 어깨 죽지에 검은 깃이 선명해 "검은죽지솔개"라고도 불리는 국내 희귀종 겨울철새 ‘검은어깨매’가 지난 초봄 내게도 관찰됐다. 먹이를 물어와 기다리고 있던 횟대에 앉아 조금은...Date2021.11.18 By작은사랑 Views607 -
No Image
흰물떼새는 포란 중
군산과 김제를 잇는 새만금 간척지 탐조 중 만나게 된 흰물떼새! 약육강식의 야생의 세계를 보며 가슴아픈 일도 있었지만, 한달여 동안 주말과 퇴근 후 50여분 거리를 숨가쁘게 달려가 귀요미 욘석들을 담는 재미에 일상이 매양 행복하였다. 물떼새과 조류로 ...Date2021.11.08 By작은사랑 Views607 -
No Image
산새,들새들모음
검은어깨매,,알락할미새,되지빠귀 육추,밀화부리,붉은머리오목눈이,소쩍새,큰유리새,후투티 육추,어치 육추,파랑새 육추 등 간단히 담아 놨던 새들을 모아봤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675 -
No Image
바깥 세상이 궁금한 아기 소쩍새
올빼미과의 조류 천연기념물 제324호 6, 7월 경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해질녘부터 활동하는 탓에 소쩍새 담기가 쉽지 않다. 이소를 앞둔 시점에서 찾아간 소쩍새, 몇년 전부터 관찰를 해오셨는 다는 조류계 교수님이라는 분이 계서 욘석들에 대해 들을 수 있...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601 -
No Image
청호반새 육추
육추중인 청호반새 부부의 고단한 여름나기 늘 그리움의 대상이었던 여름철새인 청호반새를 만나기 위해 새벽 3시에 전주에서 경기도 연천으로 달려갔다. 아쉽게도 둥지는 볼 수 없었지만, 아가들 이소를 앞두고 인근 계곡에서 사냥에 성공한 먹잇감을 입에 물...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753 -
No Image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사랑
겨울 철새인 뒷부리장다리물떼새는 10월 중순에 도래하며 2월 하순까지 소수 개체가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들어 5월까지도 관찰되고 있고 짝짓기하는 모습도 목격되고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는 가 싶다. ...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596 -
No Image
쇠제비갈매기의 일생
퇴근 후 50여분을 달려 도착한 군산 새만금 이곳에는 세계적인 보호종인 여름철새 쇠제비갈매기가 수십여 곳에서 육추와 포란을 하고 있었습니다. 갖 알에서 깨어나온 아가, 아직 물기가 채 마르지도 않은 녀석이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면서도 숫컷이 물어...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82 -
No Image
물 새들의 생활
출사지에서 조금씩 담아왔던 물 새들의 영상을 모아봤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26 -
No Image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물은 생명이다. 생명과 환경에 대한 화두가 강조되는 오늘, 생명의 근원인 물에서 시작한 생명의 여정 환경의 중요성과 그 속에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생명의 근원인 물과 인간과의 관계 다양한 조류들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담아본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29 -
No Image
새들에게는 경계선이 없다.
전남 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새만금과 고창, 충남 서천의 장항등에서 촬영한 각종 새들을 편집하였습니다.Date2021.10.26 By작은사랑 Views15 -
No Image
희귀 조류 저어새를 만나보자
저어새는 천연기념물 205-1호로 멸종위기종 1급인 새입니다. 저어새의 이름이 재밌습니다. 노를 젓듯이 부리를저어 먹이를 찾는다 하여 저어새라 칭했다고 합니다. 어미만큼 다자란 유조는 아직 사냥 능력이 없어 하루 종일 어미를 쫒아다니며 먹이를 달라고 ...Date2021.09.27 By작은사랑 Views66 -
No Image
큰유리새 육추와 이소
한 열흘 간 5차례 정도 촬영., 최종 촬영 일은 2020년 8월 5일이다. 2020년 그 해 여름 비님이 참 많이도 내렸다. 이소하는 날까지 아기 새들이 비를 덜 맞게하기 위해 나뭇가지를 이용해 비닐로 덮었고, 셔속이 나오지 않아 나이트를 비추고 촬영하였다. 2차 ...Date2021.09.13 By작은사랑 Views57 -
No Image
멸종 위기 종 황새 무리 포착하다.
황새는 생태계에서 환경오염의 지표로 삼을 정도로 공해에 민감하며, 미꾸라지 붕어 개구리 뱀 들쥐들이 많은 청정한 곳에 모여 산다.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며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 새였는데 이제는 여름 철새로도 우리나라에서 자연 번식에 성공했다...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38 -
No Image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사랑과 번식
1. 4월 28일 첫 촬영 2. 8월 1일 8마리 발견(한달여 동안 지속됐던 짝짓기 이후 몇달간 보이지않아 번식지로 돌아갔을 것으로 짐작했는데 8마리가 발견되었다. 매 유조의 두번 출현으로 이틀만에 6마리 사라지고 3일째 되는 날 2마리만 발견됨) 3. 8월 14일 4...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69 -
No Image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32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멸종위기동물 2급. 보통 2~3개의 알을 낳고 약 34~36일 동안 알을 품어 부화시킨다.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33 -
No Image
꼬마물떼새 [little ringed plover] 포란
새만금 자갈밭에 꼬마물떼새가 알을 낳고 새끼를 부화하기 위해 품에 품고 있다. 때로는 수컷과 암컷이 교대하며 알을 품기도 한다. 포란기간은 24~28이며 둥지 근처에 침입자가 나타나면 날개를 늘어뜨리고 소리를 내며 다친척 행동한다. 노란색 눈테가 뚜렷...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30 -
No Image
포란 중인 흰물떼새
조용한 간척지에 흰물때새가 산란을 하고 포란을 시작하였다. 작은 물때새가 알을 품고 있는 신기한 모습에 혹여라도 해를 끼치지는 않을까 싶어서 내심 걱정은 되었지만 어떻게든 이런 귀한 모습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마음에 둥지 주변에 카메라를 설치해 ...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32 -
No Image
팔색조 육추와 이소
우거진 숲속 어두운 바위 틈이나 바위 위에 거칠게 나뭇가지로 둥지를 틀고 출입구를 만들어 알 자리에는 이끼를 깔고 한 배에 알을 4~5개 낳으며 13~14일간 포란한다. 새끼가 부화하면 어미는 교대로 지렁이와 곤충을 물어다 먹인다. 육추기간은 13~14일이다....Date2021.08.29 By작은사랑 Views4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