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59 추천 수 0 댓글 0

 

천연기념물 제324호

 

2021. 07. 04

척추동물 > 조강 > 올빼미목 > 올빼미과

KSO_8364.jpg

소쩍새는 회색형과 갈색형의 2가지가 있는데, 갈색형은 등이 짙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주로 밤에 울며, '솟적다, 솟적다' 또는 '솟쩍, 솟쩍'소리를 반복해서 낸다.

전설에 의하면 '솟적'하고 울면 흉년을 의미하며, '솟적다'하고 울면 '솥이 작으니 큰 솥을 준비하라'는 뜻으로 풍년을 예고한다고 한다.

KSO_8253-1.jpg

숲·농촌과 도시 일원의 나뭇구멍(또는 인공새집)에 둥지를 틀고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24~25일간 알을 품고, 새끼를 키우는 기간은 21일이다. 밤에는 수컷이 새끼와 암컷에게 먹이를 먹인다.

큰소쩍새보다는 작은 편이며, 매우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이다.

봄·가을의 이동시기와 겨울에는 북녘의 번식집단이 남하 또는 북상하므로 도처에서 흔히 발견되며, 밤에는 서울시내 어디서나 활동한다.

그러나 일반에게 쉽게 눈에 띄는 새는 아니며 4~8월, 특히 5~6월 사이에 울음소리를 통해서만 존재를 알 수 있다.

천연기념물 제324호이다.

 

 

?

  1. 천연기념물 제324-5호-칡부엉이(Long-eared Owl)

  2. 천연기념물 제324-4호 - 쇠부엉이(Short-eared Owl)

  3. 천연기념물 제325-1호 - 개리(Swan Goose)

  4. 천연기념물 제203호 - 재두루미(white-naped crane)

  5. 천연기념물 제228호 - 흑두루미(Grus monacha)

  6.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7.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

  8. 천연기념물 제 326호 -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9. 천연기념물 제243-4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0. 황조롱이 먹이 사냥

  11.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2. 천연기념물 제323-8호 - 황조롱이(Common Kestrel)

  13. 천연기념물 제323-6호 -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14. 천연기념물 제324-2호 - 수리부엉이(Eurasian Eagle Owl) 유조

  15. 천연기념물 제243호 - 흰꼬리수리(white-tailed eagle)

  16. 천연기념물 243-1호 - 독수리(Cinereous vulture)

  17. 솔부엉이(brown hawk-owl) - 천연기념물 제324-3호

  18. 천연기념물 205-2호 - 노랑부리저어새(Eurasian Spoonbill)

  19. 천연기념물 제323-3호- 개구리매 어린새

  20. 천연기념물 324-2호 - 수리부엉이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