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28 추천 수 0 댓글 0

Himantopus himantopus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장다리물떼새과(Recurvirostridae)

국내분포 과거 한국에 드물게 찾아오는 길 잃은 새였으나 최근 서산 천수만 지역에서 수십 개의 번식 둥지가 관찰될 정도로 일정 지역에서는 여름철에 번식하고 있다.
해외분포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남부, 아프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중부지역,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
특징 통과철새

 

KSO_8213.jpg

 

KSO_8248.jpg

 

KSO_8254.jpg

서식지: 간척지, 습지, 해안, 논, 호수 등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양서류, 작은 어류, 곤충류, 조개 등을 먹는다.
행동습성: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으며, 걸어 다니거나 정지해 있을때 몸을 상하로 흔든다. 비행 시 다리를 꼬리 밖으로 길게 뻗는다.

 

KSO_8258.jpg

 

KSO_8259.jpg

 

KSO_8264.jpg

 

KSO_8267.jpg

 

KSO_8270.jpg

 

KSO_8271.jpg

 

KSO_8273.jpg

 

KSO_8275.jpg

 

KSO_8286.jpg

 

KSO_8297.jpg

 

KSO_8300.jpg

 

KSO_8304.jpg

 

KSO_8305.jpg

 

KSO_8306.jpg

 

KSO_8307.jpg

 

KSO_8313.jpg

 

KSO_8322.jpg

 

KSO_8325.jpg

 

KSO_8327.jpg

 

KSO_8330.jpg

 

KSO_8331.jpg

 

KSO_8562.jpg

 

KSO_8567.jpg

 

?

  1. 깝짝도요(Tringa hypoleueos)

  2. 개꿩(Pluvialis squatarola)

  3. 흰꼬리좀도요(Temminck's Stint)

  4. 꼬마물떼새 포란2

  5. 쇠제비갈매기 포란

  6. 흑꼬리도요

  7. 발레리나 뒷부리장다리물떼새

  8. 청다리도요

  9. 장다리물떼새의 사랑(짝짓기)

  10. 흰물떼새의 사랑(짝짓기)

  11. 제비물떼새

  12. 뒷부리장다리물떼새 배샷

  13. 장다리물떼새

  14. 뒷부리장다리물떼새

  15. 좀도요

  16. 흰물떼새 포란

  17. 뒷부리장다리물떼새의 나는 모습

  18. 제비물떼새

  19. 꼬마물떼새 [little ringed plover] 포란1

  20. 꼬마물떼새의 사랑(짝짓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