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에 사는 수리과의 새라고 해서 ‘물수리’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강과 호수, 바다 등에서 물고기를 사냥하여 먹이로 삼는다.
국내에서는 봄· 가을 해안가, 하구, 하천, 습지를 통과하는 드문 나그네새이며,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9월 중순에 도래해 통과 또는 월동하며 이듬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2021. 10. 16
물가에 사는 수리과의 새라고 해서 ‘물수리’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강과 호수, 바다 등에서 물고기를 사냥하여 먹이로 삼는다.
국내에서는 봄· 가을 해안가, 하구, 하천, 습지를 통과하는 드문 나그네새이며,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9월 중순에 도래해 통과 또는 월동하며 이듬해 5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2021. 10. 16
쇠오리(Holarctic green-winged teal)
흰뺨오리(Common Goldeneye)
물수리(osprey)
검은가슴물떼새(Pacific Golden Plover)
물수리(osprey)
물수리(osprey)
덤불해오라기(Chinese Little Bittern)
꺅도요(common snipe)
물수리(osprey)
물수리 날샷
괭이갈매기의 사랑
뒷부리도요
물수리(osprey)
물수리(osprey)
물수리(osprey)
물수리(물고기수리, 증경새, 악, 수악, 저구)
물수리(osprey)
붉은어깨도요(great knot)
꼬까도요(ruddy turnstone)
민물도요(dunlin) 여름깃
최곱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