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27 23:07

큰말똥가리

조회 수 616 추천 수 0 댓글 0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매목(Falconiformes) > 수리과(Accipitridae)

 

1.jpg

 

적은 수가 월동하는 겨울철새이며, 적은 수가 통과하는 나그네새다.

10월 중순부터 도래해 통과하거나 월동하며, 봄철에는 3월 하순까지 머문다.

 

유연한 날개깃으로 천천히 난다. 넓은 농경지 등 개방된 환경에서 날면서 땅 위의 먹이를 찾는다.

주로 쥐, 곤충, 작은 새를 잡아먹는다.

성조 : 홍채는 암갈색, 꼬리는 갈색이 섞인 흰색이며 가는 흑갈색 가로 줄무늬가 3~5열 있다. 

        날 때 날개깃 끝을 따라 폭 넓고 검은 띠가 보인다.

어린새: 홍채는 연한 노란색, 꼬리의 줄무늬가 성조보다 뚜렷하게 많다(7~10열)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2021.01.02 계화도

 

 

?

  1. 검은딱새(Stejneger's stonechat)

  2. 검은이마직박구리(Light-vented Bulbul)

  3. 검은딱새(Stejneger's stonechat)

  4. 쇠검은머리쑥새(Emberiza yessoensis)

  5. 때까치

  6. 흰죽지수리 (Imperial Eagle)

  7. 흰점찌르레기

  8. 백할미새

  9. 알락할미새

  10. 긴발톱할미새(western yellow wagtail)

  11. 황로의 청개구리 반찬

  12. 큰말똥가리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